2015년 3월 27일 금요일

애플 직원이 말하는 '애플스토어가 한국에 없는 진짜 이유'


한국에는 애플스토어가 없습니다.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서 구매 및 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는 있지만 보다 체계적인 지원과 본사 차원에서 직접 관리하는 오프라인 매장이 한 군데도 없는 것입니다.

반면 중국은 나날이 늘어나는 매장과, 전세계 최대 규모의 매장이 연이어 들어서고 있습니다. 앞으로 짓게 될 매장만 하더라도 군소 도시들까지 빼곡하다고 하니 왜 애플이 한국 시장에만 관심이 없는지 의문이 들게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 정말 애플 제품이 팔리지 않기 때문일까요?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어느정도는 그러했을지 모릅니다. 1~2년 전만 하더라도 아이폰의 점유율은 국내에서 5%를 넘기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느새 시장은 변했고, 이제 한국에서도 의미 있는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비단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아이패드와 맥에서도 상당한 수익을 올리는 것입니다.

더구나 소비자 1인당 매출로 기준을 잡을 경우 전세계에서 1~2위를 한다고 하는 한국 시장이니, 오히려 수입면에서는 여느나라 못지 않게 상당히 의미있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을 차별하기 때문인가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 아니었는데요,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도 애플스토어는 상당히 존재하며, 심지어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에도 애플스토어는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왜 그런것일까요?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애플 본사에서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고 있다고 합니다. 명동과 비슷한 수준의 번화가이면서도 임대료는 저렴해야 한다는데, 이것부터가 우선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괜찮은 곳에 부지를 물색했다고 하더라도 경쟁사가 먼저 구매를 해버리는 등의 일들이 자주 있어왔다는 소식까지 들려오기도 했습니다.

아무튼, 여러가지 견해들을 두고서라도, 한국에만 애플스토어가 없는 이유를 애플 마케팅 관련 부서에서 알려진 몇몇 의견들을 취합해보면 어느정도 그림이 그려질 것 같습니다.
   


먼저, 애플스토어는 현지 법인 기준이 아닌 본사 차원에서 시행하는 사업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본사에서 타당성을 따져보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입점이 더욱 어려운 것입니다.

또한 애플스토어는 아이폰만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전체적인 애플 제품을 모두 다루는 곳입니다. 그런데 한국 시장은 유달리 오프라인 판매가 약세입니다.

그동안 애플스토어와 비슷한 리테일샵, 리셀러들이 모두 성공하지 못하거나 겨우 현상 유지만 하고 있는 것을 애플이 모를리 없다는 것입니다.

맥이나 악세사리, 애플의 모든 제품군들이 고루 판매되어야 하고, 기프트카드와 같은 것들의 판매량이 높아야 하지만 한국은 그렇지가 않은 것입니다.

또한 애플은 한국 시장이 통신사를 통한 판매가 많기 때문에 애플스토어를 통한 아이폰의 판매 역시 신통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고 합니다.

애플은 애플스토어를 상징적인 의미로 생각하기 때문에, 늘 사람이 많고 매출이 많으며 소비의 중심이 되기를 바라는데, 한국은 그러기에는 시장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무엇보다도 애플스토어가 없이도 이미 잘 판매되고 있는 애플 제품들로 인해서 한국에 애플스토어가 없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애플스토어가 실패하기를 바라지 않는 애플, 상징적인 존재가 되기를 바라는 본사의 견해에 따르면 적어도 한동안은 한국에 애플스토어가 들어오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1. 애플스토어는 본사 차원의 일임.
  2. 애플의 모든 제품이 많이 팔리는 시장이 필요함.
  3. 오프라인 판매가 많이 이뤄지지 않음.
  4. 이미 애플 제품이 잘 판매되고 있음.
  5. 애플스토어가 실패해서는 안됨.

동시에, 애플스토어만이 아닌, 애플에서 서비스하는 음악이나 영화, TV 프로그램, 책, 라디오, 매치 등등 수많은 서비스가 한국에 없는 것 역시도 이와 비슷한 이유일 것입니다.

수익률로는 상위권으로 올라간 한국, 그러나 애플스토어를 열기 위한 조건에는 맞지 않는 독특한 시장구조, 한국에만 애플스토어가 없는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Related Posts:

  • 아이폰SE vs 아이폰6s ‘로즈 골드’아닌 ‘핫핑크?’ 화려한 귀환일까 아니면 어쩔 수 없는 절박함일까? 애플은 새로운 4인치 아이폰SE를 내놓았고, 시장의 반응은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여전히 대기수요가 많은 상황.아이폰SE는 정체성이 무엇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다. 스펙만 놓고 보자면 아이폰6s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도 있을 것 같지만, 가격만 놓고 보자면 아이폰6s의 60%에 그치는 수준이다. .my_ad… Read More
  • 아이패드 프로 2는 화면이 2개? 플렉서블 탑재하나 지난해 가을, 애플은 이례적으로 9.7형 아이패드 에어3를 내놓는 대신, 12.9형의 거대한 아이패드 프로를 새롭게 내놓았다. 아이패드라는 이름만 빼고 보자면 전혀 다른 제품인 셈이다.이제 아이패드 시리즈는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미니, 아이패드 프로까지 3종이 되었는데, 아이패드 프로는 기존의 아이패드 시리즈와 선을 긋기 위해 다양한 액세서리까지 더하기도 했다. .my_adslot … Read More
  • 아이폰SE & EOS 750D, 가볍게 즐기는 DSLR 아직까지 남아 있는 편견 아닌 편견이라면 단연 DSLR은 전문가들만 사용하는 고가의 카메라라는 인식이다. 물론, DSLR로 엄청난 작품을 담아내는 사진작가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DSLR이 전문가급 퍼포먼스를 보여준다고 해서 굳이 전문가들만 사용해야 하는 달나라, 별나라 제품은 아니다. 태블릿의 완성형으로 불리는 서피스 프로4를 비롯한 아이패드 프로의 경우도 일반인들의 사랑을 받기도 … Read More
  • [개봉기] 이게 바로 ‘아이폰SE’ 달라진 건, 뭐 이 정도? ‘이게 바로 아이폰SE, 별로 달라진 것은 없어요. 이것만 빼구요. 다시 작아진 4인치 화면에 1200만 화소 카메라, 4K 영상까지 담을 수 있죠. 아이폰6s 급의 스펙을 아이폰5s의 디자인에 담았어요. 새로운 로즈 골드 컬러, 끝내주죠.누르는 힘에 반응하지는 않지만 라이브 포토는 가능해요. 이제는 사진이 살아 움직이죠. 이제 아이폰6s로 할 수 있는 일은 아이폰SE에서도 가능해요. 달라진… Read More
  • 아이폰SE의 4번째. 4인치. 4가지. ‘새로움’은? 아이폰SE는 여러모로 특이하다. 우선은 4인치 아이폰의 귀환이라는 점에서 패블릿이 대중화된 현시점과 맞지 않는다는 시선도 많고 새로움이 사라졌다는 혹평도 많지만 몇몇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 반영했다는 평가도 함께 존재한다.그리고 4번째 4인치 모델이라는 점도 있다. 아이폰5에서 처음 선보인 4인치 디스플레이는 아이폰5s와 아이폰5c까지 이어진 이후 단종의 수순을 밟았지만, 이후 다시 아이폰SE… Read More

2 개의 댓글:

익명 :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이렇게 충성스러운 소비자들이 많은데도 매장을 열지 않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익명 :

글 내용중에 아프리카에 애플스토어 말씀하셨는데..예전 신문기사의 실수입니다. 애플 스토어 아프리카에 없습니다..

아이튠즈 스토어를 기자가 잘못 적은 것이지요..

하지만..한국에 애플스토어가 입점하면 정말 좋겠네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