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백이의 맥가이버 첫 번째 책을 소개합니다.

'기백이의 맥가이버'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수십가지 아이폰/아이패드/맥 활용 동영상과 활용 팁을 공유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맥에 대해서 하나부터 열까지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 6월 15일 수요일

아이폰7 때문? 숫자 건너뛴 갤노트7, 자존심 꺾은 걸까?


올가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회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네이밍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여전히 확정된 것은 없지만, 지금까지의 전례로 볼 때 애플은 아이폰7을, 삼성은 갤럭시노트6를 선택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하지만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삼성이 갤럭시노트6가 아닌, 갤럭시노트7으로 건너뛸 것이라는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그동안 빠짐없이 숫자를 챙겨왔던 삼성이 변심을 하는 것이다.


   

동시에 애플 역시 아이폰7이 아닌 ‘아이폰 에어’라거나 ‘아이폰 프로’ 혹은 그저 ‘아이폰’으로 출시할지도 모른다는 루머 역시 매년 마찬가지겠지만 올해에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은, 현재까지의 소식 가운데 가장 가능성이 큰 아이폰7이라는 네이밍과 갤럭시노트7이라는 네이밍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이름은 제품의 본질을 드러내는 아주 큰 요소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름이 가지는 의미
제품에서 이름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들 가운데는 특정 회사의 제품명이 고유명사가 된 것들이 많다. 이를테면 대일밴드가 있는데, 이것은 고유명사가 아닌 실제 한 회사의 ‘상품명’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언젠가부터 고착화가 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하나의 고유명사화가 된 것이다. 스마트 기기로 시선을 돌려보자면 미국을 기준으로, MP3는 아이팟으로 불렸었고, 여전히 태블릿을 대표하는 고유명사로는 아이패드가 있다.


스마트폰 역시 ‘아이폰’이 고유명사화가 되어서 사용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한국에서는 바로 이해하기 힘든 외국 영화들 중에는 이러한 고유명사를 활용한 대사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모두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대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마트 기기에서도 이름이 가지는 의미는 남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애플은 결코 아이폰이라는 이름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삼성 역시 지금까지 구축해 놓은 갤럭시S와 갤럭시노트라는 네이밍을 고수할 것이다.



아이폰7의 의미
애플이 내놓은 아이폰 시리즈는 오리지널 아이폰을 시작으로 아이폰3G, 아이폰3GS, 아이폰4, 아이폰4s, 아이폰5, 아이폰5s/5c, 아이폰6/6 플러스, 아이폰SE/6s/6s 플러스 이렇게 9가지였다.

한 해에 내놓는 아이폰 시리즈를 기준으로, 또한 파생 제품을 함께 계산하는 방법으로 결론을 내려보자면, 올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7이 무려 10번째 아이폰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어쩌면 애플은 지난 10년간의 기록을 돌아보며, 아이폰이 쌓아온 역사를 새롭게 쓸 시발점이 될 새로운 아이폰7을 내놓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더구나 아이폰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는 점에서도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과제 또한 주어져 있기도 하다.

아이폰7은 분명 기념비적인 제품이 될 가능성이 크다. 들리는 루머에 의하면 아이폰7 및 아이폰7 플러스와 아이폰7 프로까지 등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아이폰7 프로는 애플 펜슬을 비롯해 다양한 추가 기능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폰7은 단순히 매년 등장하던 아이폰과는 다를 필요가 있다. 마이너스 판매를 반등시킬 제품이 되어야만 하고, 기존 아이폰 구매자들도 운영체제 업그레이드가 아닌, 아이폰7을 구매할 당위성을 찾도록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갤럭시노트7의 의미
그렇다면 갤럭시노트7은 어떠할까? 오늘은 차기 갤럭시노트 시리즈가 갤럭시노트7이라는 네이밍으로 정해졌다는 가정 하에 쓰여지기 때문에, 갤럭시노트7이라는 이름이 확정이라고 보고 이야기가 이어질 예정이다.

갤럭시노트7은 그동안 이어지던 당연한 네이밍 전략을 넘어서는 새로운 전략적인 제품이 될지 모른다. 갤럭시노트5까지 이어지던 숫자 체계를 한 단계 건너뛰는 제품이 되기 때문.



   

그러나 이러한 선택을 놓고서 다분히 ‘아이폰을 의식’했다는 시선을 피하기는 힘들 것 같다. 아이폰7과 비슷하게 보이기 위해서 갤럭시노트 역시 7을 선택했다는 시선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애플 또한 이러한 상황을 모를 리 없고, 삼성 역시 감안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삼성이 이러한 네이밍 전략 변경으로 얻는 것과 잃는 것은 무엇일까?



당장 얻는 것이라면 갤럭시S7과 같은 숫자를 이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갤럭시S보다 더욱 우위에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은 여전히 갤럭시S가 더 좋은 제품이라거나, 비슷한 제품이라는 시각이 많았기 때문.

그러나, 같은 숫자로 출시될 경우 더 늦게 출시되는 갤럭시노트에 거는 기대감이 더욱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1년에 두 차례 삼성은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계속 이슈의 중심에 놓을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잃는 것이라면 다분히 아이폰7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 겉포장만 그럴듯한 제품이 되지 않을까 하는 비판적인 시선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당연하겠지만, 아이폰7을 전혀 의식하지 않은 선택이라 보기는 힘들기 때문.

삼성은 이에 대해서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할 것이고, 애플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는 않겠지만, 하나의 성장통과도 같이, 갤럭시노트7은 그 존재의 이유와 네이밍의 이유를 설명해야 할지도 모른다.



6 건너뛰는 7의 이유
앞서 언급되었듯, 갤럭시노트7이 단순히 갤럭시S7과 숫자를 맞추기 위함이라는 목표 하나만을 두고서 네이밍을 변경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렇게 하려 했다면 벌써 시도를 했어야 하기 때문.

지금에 와서야 이렇게 네이밍을 변경하는 이유는 어쩌면 다시는 만나기 힘들지 모를 아이폰과의 겹치는 숫자 때문일지 모른다. 삼성은 매년 숫자가 1씩 더해지지만, 애플은 2년마다 숫자가 1씩 더해지는 네이밍 체계를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보자면, 2년 뒤의 삼성은 갤럭시S9를 내놓겠지만, 애플은 그제야 아이폰8을 내놓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즉, 이러한 동일한 숫자 네이밍을 다시 만나는 일은 서로가 다시금 체계를 바꾸지 않는 한 힘든 상황이다.

그래서 삼성은 이번을 기점으로 애플에 강한 한 방을 날리면서, 동시에 내년에 출시될지 모르는 새로운 컨셉의 스마트폰을 비롯해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S8까지 시간을 벌어줄 제품을 내놓으려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일부 소비자들은 숫자가 건너뛴 만큼, 2세대를 건너뛴 정도의 스펙 변화를 선보일 것을 기대한다고 이야기를 하기도 했는데, 소비자들 역시 기대감이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삼성이 보여줘야 할 제품의 무게감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스펙 만능주의? 소비자 만능주의
이제는 스펙을 넘어서는 다른 무언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미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앞다퉈서 초고스펙의 제품이나, 현존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스펙을 1/3 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기 때문.

즉, 같은 스펙으로는 이미 중국 업체들과 겨루기가 힘들어졌다는 이야기다. 이것은 애플 역시 마찬가지인데, 더 이상은 완성도만을 놓고 겨루기에는 시장 자체가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램 숫자 하나에 놀라지 않고, 카메라 성능의 향상만으로 기존의 폰을 버리고 새로 구입하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운 제품을 구매해야만 하는 뚜렷한 이유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이다.

그래서 어쩌면, 차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이름이 아이폰7이 되든, 갤럭시노트7이 되든 그것은 중요한 것이 아닐지 모른다. 결국 제품의 이름이 가지는 가치는 그 제품의 본질인 제품 자체에 있는 것이기 때문.

올가을, 과연 아이폰7과 갤럭시노트7은 서로 어떠한 평가를 받게 될지, 그 이름의 가치가 어떻게 매겨지게 될지 지켜봐야겠다. 어쩌면 다시는 보기 힘들지 모를, 숫자 7의 전쟁이기 때문이다. - MACGUYVER.







[필수다운] 구글이 아이폰을 위해 만든 기발한 앱 ‘Motion Stills’
















https://itunes.apple.com/kr/app/motion-stills-create-live/id1086172168?mt=8



http://m.post.naver.com/my.nhn?memberNo=5931703&autoFollow=true


http://m.post.naver.com/my.nhn?memberNo=5931703&autoFollow=true



에어 삼킨 프로, 아이패드 에어는 결국 단종되나?


지난해 가을, 아이패드 프로가 등장했다. 갖가지 루머는 있었지만 맥북보다도 더 커진 아이패드 프로는 12.9인치로서, 9.7인치 아이패드 에어 시리즈와 비교해 화면의 면적이 78%나 더 크다.

한 마디로, 아이패드 에어 2대를 한 번에 휴대하는 것과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가진 셈인데, 이로 인해 화면 분할 작업이 더욱 유연해지고 더욱 쓰임새가 많아졌다.


   

여기에 더해, 아이패드 프로는 애플 펜슬과 스마트 키보드까지 품으며 생산성 기기임을 표방했는데, 직접 MS 관계자를 초청할 정도로 오피스 친화 정책을 선보이기도 했다.

오피스 프로그램 2개를 띄우거나, 혹은 오피스와 다른 프로그램을 연계해서 동시에 작업을 하는 모습을 선보이며, 이 제품이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는 도구가 아닌, 생산하는 도구임을 드러낸 것이다.



9.7형 프로의 등장
그런데 올봄에는 더욱 특이한 녀석이 돌아왔다. 생김새로 보나 디자인으로 보나 아이패드 에어를 그대로 빼닮은 ‘프로’가 등장했기 때문. 9.7형 아이패드 프로는 두께와 무게가 아이패드 에어2와 동일했다.

결과적으로 아이패드 에어3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에어와 닮은 디자인을 품은 것인데, 이것을 그대로 에어의 아이덴티티와 연결하자면, 아이패드 프로는 에어의 장점을 그대로 품은 것이다.


에어가 가진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그대로 가졌기 때문. 결국 아이패드 에어2는 설자리를 잃고서 2년째 숨을 죽이고 있는 상황이다. 아이패드 프로가 강력한 파워에 더해서 휴대성까지 겸비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어쩌면 9.7형 아이패드 프로를 아이패드 에어2보다도 약간 더 두껍고 무겁게 만들 수도 있었겠지만, 에어와 ‘완전히’ 똑같은 두께와 무게로 만들었다. 그렇다면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에어의 진화, 혹은 퇴보?
결국 올가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12.9형 아이패드 프로 신형 모델과 함께 차기 아이패드 미니5 혹은 아이패드 에어3가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어쩌면 미니와 에어의 융합이 일어날지도 모르겠다.

에어가 미니와 비슷한 정도로 극적으로 줄어든 두께와 무게를 지니며 차별화를 품는 것이다. 아이폰7에서 방수 기능을 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루머까지 더해진다면, 어쩌면 에어는 방수 기능까지도 품을지 모르기 때문.


   


아이패드 에어3가 훨씬 가벼워지고, 얇아지며 베젤을 줄인 매우 심플하면서도 컴팩트한 디자인을 품고, 여기에 방수 기능까지 더한다면 휴대용 기기로서 아이패드 에어3를 넘어설 기기는 많지 않아 보인다.

다만, 애플 펜슬을 프로만의 전유물로서 남겨둘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여전히 애플 펜슬에 대한 기대감은 상당하기 때문. 아무튼 아이패드 에어3는 미니를 품으며 더욱 휴대성을 강화하거나 아니면 완전히 단종되거나 2가지 선택지만이 남은 것 같다.



에어와 프로의 자가 잠식
또한 우려가 되는 것은, 아이패드 프로의 스펙이 사실은 아이패드 에어3에서 예상되었던 스펙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9.7형 아이패드 프로는 2기가 램을 탑재하고 있는데, 그런 점에서 스펙의 차이는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큰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느끼기에 아이패드 프로가 프로답지 못하거나, 혹은 아이패드 에어가 애매한 성능을 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 램을 비롯해 스펙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프로와 에어의 경계선이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2.9형 아이패드 프로는 독보적인 스펙과 함께 4기가 램 및 화면 크기의 차이라는 물리적으로 엄청난 차이를 품고 있어서 자가 잠식이 일어나기는 힘든 제품이며, 또한 가을에 2세대가 등장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지만 9.7형은 다른 것이다.

더구나 아이패드 에어를 곧바로 단종시키기에는 중저가 모델이 전무해진다는 점에서 애플의 고민도 깊어질 것 같다. 아이패드 에어2를 끝으로 9.7형 아이패드의 신형이 없다는 것은 대다수의 시장을 놓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미니의 단종, 에어의 독점?
그렇기 때문에, 아이패드 미니의 단종 및 아이패드 에어의 독점이 이어질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사실상 아이폰까지 커지면서 아이패드 미니의 존재 이유가 더욱 줄어들고 있기 때문.

그래서 아이패드 미니에 버금가는 무게를 지닌 아이패드 에어가 등장한다면, 그것 자체로도 시장에서는 큰 호응을 할지 모르며 아이폰과의 경계선도 뚜렷하게 그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올가을에 예상되는 아이패드의 라인업은 새로운 12.9형 아이패드 프로의 등장과 함께, 극도로 얇아지고 가벼워진 아이패드 에어3의 등장이 아닐까 싶은 이유다.

아이패드 프로가 다소 무겁다고 느껴질 정도로 에어는 더욱 가벼워질 필요가 있고, 그러면서도 서로가 가진 장점을 극대화하는 라인업이 필요하기 때문. 혹시 모른다. 맥북에서처럼 차기 아이패드 에어3가 ‘아이패드’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게 될지도. - MACGUY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