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0만건의 유출. 전대미문의 사건으로 인해서 네이트는 불신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대거 이탈하는 사용자들이 부지기수였고, 이후로도 지금까지 회복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보다도 더욱 화가 나는 것은 다름아닌 이러한 문제에도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피해자에 대해서 1인당 20만원의 배상을 해주라는 판결을 뒤집고, 2심에서 또다시 무죄가 선고되었기 때문입니다.
우선, 사건을 재구성해보자면, 네이트와 싸이월드의 해킹사건은 과거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2011년 7월 26일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킹이 27일까지 이어지며 중국발 해커에 의해 무려 3,500만건에 이르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이었습니다.
보다 정확히 하자면 3495만 4887건의 정보 유출이 있었는데요, 단일로는 역대 최대의 규모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1심에서는 2013년에 1인당 20만원의 위자료를 지급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이유로는 "관련법에 따라서 피해자들이 네이트 및 싸이월드 외원으로 가입을 함과 동시에 제공했던 개인정보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었는데요.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으니 배상을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판결이 의미 있었던 이유는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자들의 손해를 보상하는 최초의 위자료 판결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심에서는 이러한 판결이 완전히 뒤집어지게 됩니다.
서울고법에서는 "기술적인 보호조치를 모두 다 했다면 그것은 의무 위반으로 볼 수 없다"라면서 위자료를 20만원씩 인정했던 기존의 원심을 파기해버린 것입니다.
말 그대로, 3,500만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네이트에게 '면죄부'를 준 판결입니다. 또한 사건 이후 '이렇게 했어야' 한다는 식의 현재 기준을 적용하는 것 또한 합리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이러한 판결을 했다고 하는데요.
즉, 당시로서는 그러한 사건이 거의 일어나지도 않았고 예측이 불가능한 사건이었다는 것입니다. 아무튼 현재로서는 2심 판결 결과 '무죄'가 된 상황입니다.
하지만 사건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개개인의 개인정보를 '활용'했던 기업이 그것을 올바로 보호하지 않아서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사태를 벌였다면, 그것은 이유가 어떠하든 '피해'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개인정보를 돈이라고 가정할 경우, 은행에 맡겨둔 돈은 은행이 어떠한 보호조치를 취하든, 도둑이 어떤 경로로 침입을 해서 돈을 빼가든 모두 보호해야 하고 보상할 책임이 있을 것입니다.
결국 이와 같은 판결은 한국의 '개인정보'에 대한 인식 부족을 여실히 드러내고 말았습니다. 개인정보의 올바른 가치를 인식하지 않는다는 부끄러운 판결로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Related Posts:
자동차도 반값? 중국발 샤오미 쇼크, 자동차 가격 대전 발발
사진 인용 : 오토타임즈
샤오미는 '저렴함'과 '젊음'의 이미지를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그동안 싼게 비지떡이라는 이미지를 가져왔던 중국 기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띄고 있는데요.이러한 샤오미 쇼크는 IT산업 전반으로 넘쳐나며, 가격 경쟁뿐만 아니라 스펙 경쟁에서도 도저히 넘보기 힘들 정도가 되었습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Read More
자기 전에 스마트폰 보는 습관이 살찌게 만들어, 예방법은?
사진 인용 : d:w: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자주 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숙면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서 살이 더 쉽게 찔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흔히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통해서 뉴스를 보거나, 톡을 하거나 혹은 드라마나 영화를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습관이 여러가지 이유로 좋지 않은 것입니다.
.my_adslot { width: 250… Read More
기존 요금제, 데이터 요금제보다 1만원 더 저렴, 통신사의 조삼모사
사진 인용 : Ed Yourdon
데이터 선택,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등장하면서 마치 엄청난 혜택이 생긴것처럼 통신사들이 자랑하고 있습니다.그러나 현실은 어떠할까요? 직장인에게, 학생에게 데이터 300메가만 줄테니까 월 34,000원씩을 내라고 한다면 어떠한 대답이 돌아올지를 생각해보면 뻔합니다.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 Read More
스마트한 스마트폰 소비 늘어? 방통위는 스마트가 무엇인지도 모르나
방통위에서는 스마트폰이 비싸서 구매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을 두고서 ‘스마트’한 소비라며 자축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서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자주 교체하는 ‘과소비’를 줄였다는 것인데요.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media(min-width: 500px) {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Read More
왜 항상 스타벅스 옆에는 이디야가 있을까? 마케팅의 비밀
사진 : 출처
스타벅스는 국내에서 막대한 판매를 통해서 인기를 얻는 대표적인 커피 전문점입니다. 그만큼 많은 매장을 가지고 있는데요.모든 스타벅스 매장이 직영점일만큼, 꼼꼼한 시장 조사와 내부 검증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이상하리만치 스타벅스 옆에는 이디야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간단한 마케팅의 비밀이 숨어있었는데요.
.my_adslot { width: 250px; heigh… Read More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